일본 직접투자 유치의 걸림돌 그러면 일본은 왜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에 실패했을까? 우리나라와 같이 한때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에 부정적이던 나라들도 이제는 대부분 외국인 투자를 적극적으로 환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GDP 대비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 비율은 1994년 2%에서 2020년 14%로 급성장했다. 인도도 1990년 0.5%에서 2020년 14%로 높아졌다. 이전 소비에트 연방 시절 7%에 불과했던 동유럽 8개 국가의 GDP 대비 직접투자 유입 비율은 2020년 55%로 급등했다. 미국도 자국 반도체와 전기차 산업 육성을 위해 우리나라 기업의 투자를 적극적으로 요청하는 시대가 되었다. 외국인의 일본 직접투자가 부진한 것은 외국 기업이 자국 기업을 인수, 합병하는 것에 대한 일본인의 부정적 정서가 ..
독서에서 배워야 할 것들 유튜브에서 ‘최진기의 생존경제’(https://www.youtube.com/@0hmyschool)를 즐겨 시청하며 가끔은 그가 하는 주식 강의를 보기도 했다. 동부증권 출신인 그는 캔들 차트의 움직임을 보면서 ‘주식은 하나부터 열까지 인문학’이라고 강조했다. 버크셔해서웨이 회장 위런 버핏의 사업 동반자인 찰리 멍거는 ‘주식 투자는 종합적인 찰리 멍거는 ’주식 투자는 종합적인 지적 체계를 필요로 한다‘고 했다. 이는 회계나 산업 지식과 같은 단편적인 지식이나 정보만으로는 궁극적으로 성공적인 주식 투자에 도달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문학,심리학,철학 등의 투자자에게 영감이나 아이디어를 줄 수 있고 자연과학인 수학, 물리학, 생물학 등도 투자와 연관 지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멍..